본문 바로가기
땡구의 재테크N이벤트

부부 상속세 폐지 전망, 무엇이 달라질까?

by 땡구0324 2025. 4. 4.
반응형

부부 상속세 폐지, 왜 논란이 되고 있을까?

현행 상속세 제도에 따르면, 배우자도 상속세를 내야 합니다. 남편이 사망할 경우 자녀뿐만 아니라 배우자도 일정 금액을 초과하는 재산에 대해 세금을 납부해야 하죠. 현재 배우자 공제 한도는 5억 원이지만, 이를 초과하는 재산에는 세금이 부과됩니다. 그런데 최근 정치권에서 이 부부 상속세를 폐지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배우자 상속세, 왜 문제인가?

부부는 경제적으로 공동체를 이루며 살아갑니다. 그런데도 배우자에게 상속세를 부과하는 것이 과연 타당한가? 하는 논란이 계속되어 왔습니다.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이혼 시에는 재산 분할에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데, 상속에는 부과하는 모순
  2. 부부는 동일한 세대인데 상속으로 간주하는 점
  3. 배우자가 상속세를 낸 후, 자녀가 다시 상속을 받을 때 또 한 번 세금을 내야 하는 이중과세 문제

즉, 배우자 상속세가 세금 형평성 측면에서 불합리하다는 지적이 많았습니다.


해외에서는 배우자 상속세가 어떻게 적용될까?

해외 사례를 살펴보면, 배우자 상속세를 아예 폐지했거나 예외적인 경우에만 부과하는 나라가 많습니다.

  •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배우자 상속세 면제
  • 독일: 현금, 주식 등은 상속세를 부과하지만, 배우자가 함께 거주하던 주택은 면제
  • 캐나다, 호주: 배우자 간 상속세 없음

대부분의 국가가 배우자의 상속세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배우자 공제 한도가 5억 원에 불과한 반면, 해외에서는 배우자 상속세를 아예 없애거나 면세 혜택을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배우자 상속세가 폐지되면 무엇이 달라질까?

1. 배우자가 상속세 부담에서 벗어남

배우자 상속세가 폐지되면, 한쪽 배우자가 사망할 경우 재산이 온전히 생존 배우자에게 이전됩니다. 이후 남아 있는 배우자가 사망했을 때 자녀들에게 상속이 이뤄지는 방식이 될 것입니다.

2. 자녀의 상속세 부담 증가 가능성

현재는 전체 상속 재산에서 배우자 공제를 적용한 후 배우자와 자녀들이 나눠서 상속세를 내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배우자 상속세가 폐지되면, 나중에 자녀가 상속받을 때 모든 재산에 대해 한꺼번에 상속세를 내야 합니다. 즉, 자녀의 상속세 부담이 커질 수도 있습니다.

이 때문에 상속세를 지금처럼 유산세 방식으로 부과할지, 아니면 유산취득세 방식으로 전환할지에 대한 논의도 함께 이뤄지고 있습니다.

  • 유산세: 전체 재산에 대해 상속세를 부과한 후, 상속받는 사람이 알아서 분담
  • 유산취득세: 상속받는 사람 각각이 자신이 실제로 상속받은 금액에 따라 세금 납부

유산취득세 방식으로 개편된다면, 상속세 부담이 보다 합리적으로 조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배우자 상속세 폐지, 실제로 가능할까?

정치권에서는 배우자 상속세 폐지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 여당(국민의힘): 배우자 상속세 폐지 제안
  • 야당(더불어민주당): 원래 배우자 공제 한도를 10억 원으로 올리는 방안을 추진했으나, 하루 만에 폐지안을 수용하는 입장 발표

즉, 여야 모두 배우자 상속세 폐지에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어 입법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다만, 추가적인 세제 개편안을 두고 이견이 존재합니다.

  • 여당 주장: 소득세 최고세율(현재 50%)을 40%로 낮추고, 최대 주주에게 부과되는 20% 할증도 폐지해야 한다는 입장
  • 야당 주장: 이는 부자 감세에 해당하므로 반대

배우자 상속세 폐지와 관련한 논의는 긍정적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다른 세제 개편안과 맞물려 있는 만큼 최종 결정까지는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큽니다.


결론: 배우자 상속세 폐지, 득과 실은?

배우자 상속세가 폐지되면, 생존 배우자의 경제적 부담이 줄어들고 해외 사례와도 부합하는 방향으로 제도가 개편됩니다. 하지만, 자녀들이 상속을 받을 때 더 큰 세금을 부담하게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상속세를 유산세에서 유산취득세 방식으로 변경하는 등 세제 개편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배우자 상속세 폐지는 이제 법안 발의와 국회 논의를 거쳐야 하지만, 여야 모두 공감하는 사안인 만큼 실제 개정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향후 입법 과정을 지켜보며 합리적인 상속세 개편이 이루어질지 기대해볼 만합니다.

반응형